學以時習之 不亦說乎

기제의 순서

햇살처럼-이명우 2007. 2. 15. 18:45

1. 분향강신

강신이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2. 참신

참신이란 강신을 마친 후 제주이하 모든 참가자가 함께 2번 절하는 것을 말한다.

3. 초헌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 후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가 잔에 술을 따르면 제주는 강신 할 때와 같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서 제상에 올린다.

먼저 고위(아버지 위)앞에 올리고 2번제 잔을 받아서 그대로 비위(어머니 위)앞에 올린다.

4. 독축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꿇어앉고 참사자중에 한사람이 축을 읽는 것이다.

이때 축을 읽고 나면 곡을 한다. 곡이 끝나면 모두 일어나고 제주는 제배 한다.

5. 아헌

아헌이란 두 번째 올리는 잔을 말한다.

아헌은 주부가 올리는 것이 예이지만 주부가 올리기가 어려울 때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주부가 올릴 때에는 4번 절한다.)

6. 종헌

종헌이란 3번째 올리는 잔을 말하는데 종헌은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때의 예절과 같이 한다.

집안에 따라서는 아헌과 종헌 때에도 적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계반 (啓飯 : 제사에 사용되는 유식으로 "開飯(개반)"으로 표기하지 않음).

계반은 메(밥)그릇 및 탕이나 반찬의 뚜껑을 열어놓는 것.

7. 삽시

삽시는 메그릇(밥그릇)에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한다.

이때 반드시 숟갈 바닥이 우측으로 향하도록 꽂는다.(수저는 동쪽으로 향하게 꽂는다.)

8.첨작

첨작이라 함은 종헌자가 채우지 않은 술잔에 제주가 무릎 꿇고 다른 잔에 술을 조금 따루어좌우측의 사람을 통하여 술을 채우도록 하는 것.

9. 합문

합문이란 참가자 일동이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이나 마루에 서 조용히 기다린다.(대청일 경우에는 뜰아래로 내려선다.) 합문의 시간은 합을 9번 떠먹을 동안의 시간

계문 (啓門:제사에 사용되는 유식으로 "開門(개문)"으로 표기하지 않음)

제주가 앞에 서서 기침을 한 다음 문을 열고 일동과 함께 들어간다.

10.헌다

슝늉을 갱과 바꾸어 올리고 메(밥)을 조금씩 3번 떠서 말아놓고 정저한다. 이때 메에 꽂아놓은 숟갈을 숭늉그릇에 반드시 담그어 놓는다.

11. 철시복반

철시복반이란 숭늉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어 메(밥)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12. 사신

참사자 일동이 2번 절하고 신주일 경우에는 사당에 보시고 지방과 축문을 불태운다.

13. 철상

모든 제상음식을 물리는 것을 말하며 제상의 위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겨 물린다.

14. 음복

조상이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 하며 제사 참사자가 모두 시식하고 이웃 에도 나누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