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47

683. 이순신의 반역, 유광남, 스타북스, 2014.

683. 이순신의 반역, 유광남, 스타북스, 2014.차례1.이순신의 심중일기 2.사가야의 난중일기 3.일본정벌 4.어느 봄날의 저주 5.역사의 갈림길 6.신비한 미소녀 7.1591년 봄 8.왕과 신하 9.한산도의 봄 10.오랑캐 공주 11.분노의 새벽 12.의병장 곽재우 13.삼경의 바람 14.꿈 속의 여인 15.영웅을 그리며 16.불행한 사랑, 행복한 사랑 17.국청의 희망 18.역모(逆謨) 19.장계의 비밀 20.실종된 단서 21.추악한 음모 22.갈등 23.이순신의 장계 24.드러나는 진실 25.이순신의 꿈 26.왕세자 광해군 27.교토 정벌 28.안국동 풍운 29.불타는 교토 30. 왕의 봄날 31.이순신의 반역 32.마지막 승부 33.이순신이 꿈꾸는 나라 34.이순신과 김충선 이순신의 心中日..

책읽기 2025.04.06

682. 찰리 멍거 바이블, 김재현, 이건 엮고지음, 에프앤 미디어, 2023.

682. 찰리 멍거 바이블, 김재현, 이건 엮고지음, 에프앤 미디어, 2023. 멍거는 '문제를 뒤집어 생각할 때 잘 풀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예를들어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대신 '확실히 불행해지는 길'을 피하라고 조언한다. 그리고 확실히 불행해지는 길 가운데 하나는 다른 사람의 실수와 경험으로부터 절대 배우지 않는 것이라고도 했다. 투자자라면 그레이엄, 버핏, 멍거에게 배우지 않는 것만큼 불행한 일은 없을 것이다. 버핏과 멍거는 '학습기계' 개념을 강조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원인은 결국 스스로의 부족함을 알고 더 많이 배우려고 노력한 것이라고 한다. 차례서문1장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 - '가격이 잘못 매겨진 베팅'의 기회 3조 부자인 '가난한 찰리'의 투자 ..

책읽기 2025.03.23

681. 사자같이 젊은 놈들, 구본형, 김영사, 2002.

681. 사자같이 젊은 놈들, 구본형, 김영사, 2002. 젊은이들 10명 중 3명은 '자유로운 전문가'의 길을 걷고 싶어한다. 그들은 조직에 묶여 죽어라 일만 하는 대신, 돈도 벌고 여가를 즐기며 소중한 사람과 넉넉한 시간을 가질 수 있기를 원한다. 또한 전문성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길 바란다. 고용당하는 대신 스스로를 고용함으로써 자유로와지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 길은 반드시 준비가 필요하다. 땀과 정성만 필요할 뿐 요령이 있을 수 없는 수련의 길 - 이것이 기술과 테크닉을 익힐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다른 길을 찾지마라. 없다. 그러나 땀을 흘린 모든 사람이 다 자유로운 전문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날개를 달고 하늘로 오르고, 어떤 이는 평생 일에 매여 노력하며 살 뿐이다...

책읽기 2025.03.23

680. 이웃집 백만장자(변하지 않는 부의 법칙), 토머스 스텐리, 세라 스텐리 펠로, 비즈니스 북스, 2022.

680. 이웃집 백만장자(변하지 않는 부의 법칙), 토머스 스텐리, 세라 스텐리 펠로, 비즈니스 북스, 2022. 들어가며, 부자의 길, 느리고도 꾸준한 일상의 혁명제1장 이웃집 백만장자는 잘 살아있다. 이웃집 백만장자를 찾아 나서다/ 은퇴한 젊은 부자들, 파이어족의 출현/ 부의 전제조건:돈을 중히 여겨라/ 당신의 수입은 현재와 미래의 소비를 감당하는가?/ 소득은 재산이 아니다/ 21세기 백만장자들의 초상/ 성공의 공식은 바뀌지 않았다/ '부자행세'를 하는 가짜 이웃집 백만장자/ 부자가 되는 유일한 길은 없다/ 어느 백만장자의 똑똑한 선택/ 소셜미디어와 인플레이션의 영향/ 남보다 절제하고 남과 다르게 생각하라.제2장 부에 관한 7가지 신화 깨부수기 신화1. 성공하려면 성공한 집단에 들어가라/ 신화2..

책읽기 2025.03.09

679. 중용[사서집주1.], 주희, 삼성출판사, 1989.

679. 중용[사서집주1.], 주희, 삼성출판사, 1989.해제 차주환>은 > 49편 중의 제31편으로 들어있는데 후에 그 중요성 때문에 표출되어 단행하게 되었다. 자사(子思)는 공급의 자(字)로 그는 공리(孔鯉)의 아들이고, 공자(孔子)의 손자다. 전해지기로는 증삼의 제자로 노목공(魯穆公)의 스승이었다. 후세에 그가 공자의 덕(德)을 천명했다는 것을 기려 그를 술성(述聖)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가 을 저술했다는 내용이 고기록(古記錄)에 보이기 때문에 대체로 의심을 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주희는 의 깊은 뜻을 연구하는데 오랜 세월을 보냈다. 그가 를 낸 것은 그가 60세 되던 해인 순희(淳熙)16년(1189년) 이었다. >의 은 본래33절로 되어 있는데, 주씨는 여기 주해를 붙였다. ..

책읽기 2025.03.09

678.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Live wired), 데이비드 이글먼, 알에이치코리아, 2023.

678.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Live wired), 데이비드 이글먼, 알에이치코리아, 2023.데이비드 이글먼(David Eagleman)젊은 뇌과학자, 스탠퍼드 신경과학과 부교수, '뇌과학계의 칼 세이건'차례1장 섬세한 분홍색 지휘자 뇌가 반쪽인 아이/ 생명의 다른 비밀/ 도구가 없다면 만들어라/ 항상 변하는 시스템2장 덧셈뿐인 세계 뇌를 훌륭하게 기르는 법/ 경험이 필요하다/ 자연의 대단한 도박3장 내면은 외면의 거울 실버 스프링 원숭이의 사례/ 허레이쇼 넬슨 경의 오른팔/ 모든 것은 타이밍/ 식민화는 전력을 기울여야 하는 일/ 많을수록 좋다/ 보이지 않을 만큼 빠르다/ 꿈과 행성의 자전이 무슨 상관?/ 외면이 그러하면 내면도 그렇다4장 입력자료 이용하기 생성을 장악한 포테이토 헤..

책읽기 2025.02.24

677. 마인드 셋, 캐럴 드웩, 스몰빅라이프, 2023.

677. 마인드 셋, 캐럴 드웩, 스몰빅라이프, 2023. MS 이소영 작가의 책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이 있는가'에서 언급하여 '히트 리프레쉬(사티아 나델라)와 함께 읽는다. 많이 인용된 책이라 쉽다.차례1장 원하는 것을 이루는 힘, 마인드 셋 사람들은 왜 저마다 다른가/ 두 가지 마인드 셋의 의미/ 비밀이 아닌 과학으로의 마인드 셋/ 통찰력이 뛰어난 사람들/ 탁월한 인재는 이것이 다르다2장 마인드 셋에 따른 인생의 차이 새로운 성공의 심리학/ 마인드 셋은 실패의 의미를 바꾼다/ 마인드 셋은 노력의 의미도 바꾼다/ 마인드 셋에 관한 오해와 진실3장 성취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예술적 능력은 타고나는가/ 잘못된 칭찬이 가진 위험성/ 부정적인 꼬리표의 악영향/ 발전을 가..

책읽기 2025.02.23

676. 시민 불복종, 헨리 데이비드 소로, 현대지성, 2023

676. 시민 불복종, 헨리 데이비드 소로, 현대지성, 2023 "가장 적게 통치하는 정부가 가장 좋은 정부다." 나는 이 좌우명을 진심으로 믿는다. 정부는 국민에게 일종의 목총(木銃)같은 존재다. 그럼에도 정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하다. 사람들은 자신이 지닌 정부 개념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런저런 복잡한 기계가 필요하고 또 그것이 작동하려면 내는 소음을 들어야 비로소 만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정부들은 자기 유리한 쪽으로 시민을 적절히 강요할 수 있고, 심지어 시민이 알아서 스스로 강제를 가하도록 유도한다. 정말로 놀라운 기술인데, 우리는 이런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 정부는 스스로 어떤 사업을 촉진하는 일은 절대 하지않고 단지 그 사업에서 재빨리 몸을 빼내는 일에만 능하다. ..

책읽기 2025.02.22

675. Hit Refresh, 사티아 나델라, 흐름출판, 2022

675. Hit Refresh, 사티아 나델라, 흐름출판, 2022사티아 나델라(1967.8.16. 인도생)1992년 마이크로소프트 입사. 2014년 2월 MS 세번째 CEO로 지명.(빌 게이츠, 스티브 발머). 2021년 MS 이사회 의장 심리학자 마이클 저베이스(Michael Gervais) : MS 본사가 있는 지역을 연고로 삼은 미식축구 팀 시에틀 시호크스(Seattle seahawks)가 슈퍼볼에서 우승하도록 기여한 사람, 고도의 성과를 이끌어 내는 명상훈련 전문가. 크리스 카포셀라, 케빈 터너, 페기 존슨, 커트 델빈, 루치, 에이미 후드, 브래드 스미스, 스콧 구리스, 테리 마이어슨, 해리 셤 등이 속해 있는 SLT(Senior Leadership Team) 첫 훈련에 참석한 저베이스 ..

책읽기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