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 애노희락愛怒喜樂의 심리학, 김명근, 개마고원, 2003 302. 애노희락愛怒喜樂의 심리학, 동무 이제마의 四象心學, 김명근, 개마고원, 2003 이 책은 한마디로, 사상체질에 따를 성정, 기운, 성향 등으로 인해서 본인이 부족한면, 체질적 특성으로 자칫 오해나 편견으로부터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본인의 부족한 부분을 깨닫고 노력하라는 메세지.. 책읽기 2012.07.19
301. 세상 밖으로 나온 심리학, 강현식, 네모북스, 2006 =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 그리고 이와 관련된 생리, 심리,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Psychology is multidisciplinary field with different segment employing irreconable orentation" 심리학 = 짬뽕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것을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 책읽기 2012.07.18
300.누다심의 심리학 블로그, 강현식, (주)살림출판사,2007 300.누다심의 심리학 블로그, 강현식, (주)살림출판사,2007 1. 음모의 심리학 망상의 종류 1) 피해망상(delusion of persecution) 가장 흔한 형태의 망상으로 누군가가 자신을 괴롭히려 한다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단순하게 시작했다가 대부분의 경우에는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책읽기 2012.07.13
299. 사기 2, 사마천, 김진연, 서해문집, 2000 299. 사기 2, 진실로 용기있는 자는 가볍게 죽지 않는다. 김진연, 서해문집, 2000 1. 과연 하늘의 뜻이란 언제나 옳은 것인가? - 백이, 숙제 2. 정처없는 망명객 - 진(晋) 문공(文公) 중이(重耳) 진(晋)나라 헌공 5년 晋나라는 여융족을 토벌, 여희라는 여자를 얻어 헌공의 사랑을 독차지. 이윽고 .. 책읽기 2012.07.11
298. 사기 1,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 사마천, 김진연편역, 2002, 서해문집 298. 사기 1,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잡아먹는다. 사마천, 김진연편역, 2002, 서해문집 狡兎死走狗烹 오나라왕 합려., 그 아들 부차, 월나라 왕 구천, 오나라의 오자서(공손웅), 월나라의 대부 종(種), 범여 오나라의 왕 합려가 월나라와의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죽으면서 아들 부차에.. 책읽기 2012.07.09
297. 한권으로 보는 사기(史記), 사마천, 서해문집, 2000 297. 한권으로 보는 사기(史記), 사마천, 서해문집, 2000 史記는 漢나라 무제 때 역사가 사마천이 지은 130권에 이르는 방대한 역사서이다. 그 내용은 춘추전국시대르리 살다간 수 많은 영웅과 호걸, 간웅으로부터 협객, 자객, 그리고 아래로는 점쟁이, 건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인물들의 삶.. 책읽기 2012.07.09
내 아이가 꼴찌를 해도 건강한 것에 감사하며 보듬고 살겠습니다. 우리 아이 중에는 “공부도 못하는 놈!” 소리를 듣고 자라는 아이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내 아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다가 가끔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공부만 잘하는 학생과 공부 빼고 다 잘하는 학생 중에서 누가 더 나은 것일까?’ 당연히 공부만 잘하는 학생보다는 공부 .. 일상 2012.07.09
인간에게 단 하나의 의무가 존재한다면.. 우리는 본디 길 잃은 인간으로 태어났다. 그래서 ‘살 이유’는 찾기 힘들다. 그래도 괜찮다. 그런 이유를 찾지 못한 채 사는 사람 많거든. 하지만 ‘죽어서는 안 될 이유’는 꼭 찾아라. 인간에게 단 하나의 의무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사는 것이다. 살아 보니, 이 세상에서 사는 것보다 .. 일상 2012.07.09
296. 역사의 혼, 사마천, 천퉁성, 이끌리오, 2002 296. 역사의 혼, 사마천, 천퉁성, 이끌리오, 2002 <사기>의 원래 명칭은 <태사공서>이며, <사기>라 일컬어진 것은 삼국시대 이후의 일이다. <사기>는 본기 12편, 서書 8편, 표表 10편, 세가世家 30편, 열전列傳 70편, 모두 130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황제皇帝로 부터 한무제 천한.. 책읽기 2012.07.05
295.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죠반니노 과레스끼, 서교출판사, 2004 295.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죠반니노 과레스끼, 서교출판사, 2004 강과 길은 서로 견줄 수 없다. 길은 역사에 속하고, 강은 지리에 속하니까. 그런데 왜 이런 비교를 하는 걸까? 역사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 아니다. 지리적 환경에 순순히 따를 수 밖에 없듯 사람들은 역사에 순종하게 된다... 책읽기 201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