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276. 대왕 세종, 박기복, (주)크레듀, 2007

햇살처럼-이명우 2012. 2. 28. 09:01

인간의 행동은 마음의 그림자다. 마음 속에 무엇을 그리느냐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세종世宗(이도) 1397. 4. 10~1450. 2. 17(1418~1450 재위) 태종과 원경왕후의 3남. 시호 장헌, 자녀 18남 4녀

1. 안티사랑, 이도와 최만리
노랫소리가 듣기 싫다하여 새를 죽이려 함은 옳지 않다. 良藥苦口 양약고구

2. 자기절제, 이도와 윤회
마음 속 구석구석 빛을 비추어 탐닉의 덫을 다스리도록 힘쓸지어다. 克己復禮 극기복례

3. 마음의 균형, 이도와 김문
거센 풍파에 배가 흔들려도 중심의 균형을 잃지 않는다면 온전할 지어다. 明鏡之水 명경지수

4. 자기적합화, 나뭇잎에 꽃이 달릴 수 없듯이 나뭇가지 끝에는 뿌리가 뻗어갈 수 없다. 適材適所 적재적소

5. 가기계발, 이도와 박팽년
배움에 굶주린 자는 온 마음으로 학문에 매진하면 후일 광명이 비칠지어다. 發憤忘食 발분망식

6. 전문성 추구, 이도와 정인지
무엇이든 넓게 경험하고 깊이 파고들어 스스로를 귀중한 존재로 만들지어다. 藥籠中物 약롱중물

7. 자기변화, 이도와 하위지
들판의 돌 한조각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모양이 바뀌듯 자신의 허물도 빠르고 또렷하게 고치어 올바른 행함으로 이끌지어다. 君者豹變 군자표변

8. 자기경계, 이도와 이개
그릇된 옛일을 거울삼아 그 거울에 스스로를 비추어 파수꾼이 될지어다. 他山之石 타산지석

9. 아낌과 위함, 이도와 신숙주
내 몸과 마음이 귀하듯 남 또한 소중히 여기면 그 마음을 얻을 지어다. 愛人如己 애인여기

10. 긍정성 확보, 이도와 변계량
남을 바로 하기 전 먼저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신에게 엄격할 지어다. 盜泉之水

결론적으로 보면 최만리는 세종과는 다른 각도의 실용을 생각했고, 국제관계를 우선시 했다.

 

대통령이나 최고경영자와 같이 막강한 권력을 갖고 있는 사람 앞에서는 구성원들의 자기 검열이 더욱 심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을 '집단사고 Groupthink'라 부른다.

 

노랫소리가 싫다고 새를 죽여서는 안된다.

 

허허 만일 그랬다면 주인장은 필시 거위의 배를 째서 구슬을 찾았을 것이오. 그래서 무고한 생명과 하룻밤의 욕심을 바꾸었소.

 

재능은 우리의 삶에 내용을 채워주지만, 태도는 인생의 방향을 결정한다. 물론 삶에 내용을 채워주는 것은 재능 뿐만이 아니다. 하지만 인생의 방향은 반드시 태도가 결정한다. 무엇으로 인생을 채울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또한 태도다. 좋은 태도는 우리들의 인생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고 그 내용에 있어 풍성한 수확을 거둘 수 있도록 하지만, 나쁜 태도는 우리 삶의 내용을 빈약하게 할 뿐 아니라 내일을 기약할 수 없게 만든다.

 

賜暇讀書 사가독서 제도 - 신하들의 독서를 위해 휴가를 주는 제도.

 

자기계발에도 등급이 있다.

  하급 : 남이 시켜서 하는 자기계발

  중급 : 스스로 하기는 하되 시험이나 취직을 위해서 하는 것

  상급 : 호기심, 흥미, 신념으로 하는 몰입된 자기계발

 

자기계발 방법

  1. 하루를 넓게 쓴다.

  2.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면서 배운다.

  3. 깊이 있게 학습한다.

  4. 폭 넓은 학습을 한다.

  5. 자기계발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임을 잊지 않는다.

 

發憤忘食 발분망식

 

전문성 - 실무 전문성, 관계 전문성, 개념 전문성

 

아낌은 귀한 것을 함부로 쓰지 않는 것을 뜻하고, 위함은 상대가 더욱 귀해지도록 돕는 것을 뜻한다. 위하면 더욱 귀해지고, 귀하면 더욱 아끼게 되는 것이 마음경영의 이치다.

 

2008. 8. 24 일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