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274. 동양사상과 명상, 박석, J&C, 2004

햇살처럼-이명우 2012. 1. 19. 09:07

274. 동양사상과 명상, 박석, J&C, 2004

목차
1. 힌두교와 명상
2. 불교와 명상
3. 도교와 명상
4. 유교와 명상
5. 사상과 명상

힌두교에는 원시적인 정령숭배와 저급한 주술행위부터 고도의 세련된고 심오한 종교철학까지 실로 다양한 스펙트럼이 공존 하고있다.

 

힌두교의 종교사상을 이루고 있는 가장 오래된 경전은 '베다'  지식, 종교적 지식을 뜻한다. B.C1500년 경부터 인도 서북부를 침입, 원주민 정복하고 인도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아리안 족이다.

  <리그베다> 제관들이 여러 신들을 제장에 초청해 부르는 찬가

  <사마베다> 제관들이 부르는 종교음악을 모아 놓은 것

  <아주르베다> 제사에 필요한 축문을 모아 놓은 것

  <아타르베다> 재앙을 막고 복을 부르는 주문을 모아 놓은 것

 

- 요가는 (Juj)를 어원으로 하는 말로써 '묶다'라는 의미이다. 가축을 묶다 라는 의미에서 , 이리저리 날뛰는 우리의 마음을 통제하여 한 곳에 묶어든다는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

- 고전요가의 수행단계

  1. 야마 (금계禁戒) - 계율(사회적, 외면적) 살생, 도둑질 금지

  2. 니야마(권계 勸戒) - 내면적 종교계육, 청정, 만족, 학습

  3. 아사나(좌법) - 자세

  4. 프라나 야마(조식調息) - 호흡

  5. 프라티아하라(제감 制感) - 감각기관 제어

  6. 다라나(응념 凝念) - 마음을 한가지 대상에 고정

  7. 디아나(정려靜慮) - 대상을 향한 통합된 의식의 흐름

  8. 사마디(삼매三昧) - 대상만이 빛나고 자기 자신은 공허하게 된 상태, 주객합일의 상태

 

응념(凝念), 정려(靜慮), 삼매(三昧) 는 요가의 마지막 단계

 

- 탄트라 명상 : 'tan' 확장하다의 의미

- 탄트라 철학 : 시바 - 순수의식, 여신

                      샥티 - 원초적 에너지, 남신,    우주탄생

 - 좌도 탄트라 : 시바, 샥티의 외면적 결합, 일반적

 - 우도 탄트라 : 시바와 샥티의 내면적 결합

 

- 불교, 붓다의 가르침 - 중도의 길

                            고(苦), 집(集), 멸(滅), 도(道)

 

- 보살은 불교 대중화 운동의 핵심 개념이다. 보살이란 깨달음을 구하는 중생 혹은 깨달은 중생이란 뜻으로 이미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들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상속에 머물면서 일체중생을 피안의 세계로 인도하려는 사람을 가리킨다.

 

- 불교경전에는 깨달음의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등의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

 

- 남방불교의 위빠사나 명상

 

- 삼법인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 북방불교 선종의 명상

  노장사상 - 불립문자 不立文字, 화광동진和光同塵, 단도직입單刀直入

  선종 - 화두선

            묵조선

 

 유교 : 송명이학

  공자(B.C 552~B.C479) : 고대 주나라의 질서붕괴 심화되던 춘추시대 말기에 태어났다. 공맹사상이 지배계충에 체택된 것은 한나라 초기 무제때 유학자 동중서(董仲舒)의 건의에 의해서였다. 이후 유교은 청나라 말기까지 2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관학의 지위를 누릴 수 있었다.

 

  <시>, <서>, <역>, <예>, <춘추>

  시 - 시경, 서주말엽~춘추시대 초기까지 각 지방에서 유행하던 민요와 사대부들의 연회악, 종묘제례악을 모아 놓은 노래가사집

  서 - 서경, 상고시대부터 주나라 시대까지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

  역 - 주역, 역경, 주나라때 만들어진 점복서에 공자와 그 문인들이 철학적 해석을 단 철학서적

  예 - <주례>, <의례>, <예기> 세 종류로 이루어져 있는 예에 관한 기록의 총칭

  춘추 - 노나라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책, 세가지 주석서를 가지고 있다.

 

위진 남북조

송대

북송 이후의 신 유교 - 송명이학(宋明理學)

  공자, 맹자, 대학, 중용 - 사서(四書)

  (대학과 중용은 <예기> 가운데 한편인데 독립시켰다)

 

정주이학 - 북송시대 주자학(주자가 집대성) 정이, 남송시대 주희가 주축

 

육왕심학 - 남송시대 육상산, 양명학(명대의 왕양명이 주축)

 

2008.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