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284.열정(Energy Addict), 존 고든, 바이탈 북스, 2007

햇살처럼-이명우 2012. 3. 23. 18:11

284.열정(Energy Addict), 존 고든, 바이탈 북스, 2007

열정이 없다면 아무것도 변화시킬 수 없다.
당신이 어떤 생각, 말, 신념, 감정, 상황, 습관, 사람들, 음식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거기에서 나오는 에너지로 기분이 좋아질 수가 있는가 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고 기운이 빠질 수도 있다.

우편원격교육 교재 no.1
이 책은 열정을 가질 수 있는 55가지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90:10 법칙, 에너지 자판기, 에너지 뱀파이어, 가슴이 원하는 일 에너지 발전소 등의 용어가 새롭고 독특하다.

「인간, 나무, 물, 햇빛, 공기, 식물, 그 밖에도 우주의 모든 것은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다. 에너지는 결코 창조되거나 파괴되지 않는다. 다만 다른 형태로 변화할 뿐이다 」

인생은 선택과 행동의 결과물이다. 믿고, 말하고, 선택하고, 행하는 것이 바로 당신 자신이 된다. 실천하고 싶은 일을 적어보자. 그리고 어떤 의식이 그 일들을 습관화 하는데 도움이 될 지 궁리해보자.

90퍼센트는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자연식품을 먹되, 나머지 10%는 원하는 음식으로 보상해주기

무슨 일이든 즐기지 못한 채 의무감으로 할 때는 오래 지속하기 어려워진다.

에너지 뱀파이어를 만나면
1. 변화시켜라.

2. 불을 켜라

3. 도망가라.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강점과 약점을 잘 알고 있으며, 자신의 약점을 개선하는데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장점을 활성화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집중한다.

 

가슴이 원하는 일을 하라.

 

중요한 일에 에너지를 집중한다.

 

현재를 주도하는 기업,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미래를 내다보는 눈을 갖고 있어야 한다.

 

잡동사니는 치워버려라.

 

자신만의 에너지 가방을 만들어라.

 

피로는 싸워서 이기는 게 아니다.

 

마스 교수

"잠을 잘 때, 7시간 째와 8시간 째 사이의 한 시간 동안 REM 수면상태(안구의 움직임이 빠른 수면 상태)가 된다. 이 때 우리는 스스로를 회복시키고 에너지를 재충전한다. 그러므로 하루에 6시간만 잔다면, 다음 날을 준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지금 당장 운동을 시작하라. 아침에 운동을 하면 몸과 뇌가 함께 움직이면서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이봐, 오늘도 바쁜 하루가 될 거야. 자 이제 에너지를 만들기 시작하자."

 

스스로 창조자가 되어라.

2004년 <USA Today>지 보고, 미국인들의 1년 평균 텔레비전 시청시간 1,669시간, 1년의 약 70일에 해당하는 시간

 

저녁시간을 활기차게 보내라. 우선 집에 들어오면 15분에서 20분 정도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라. 가족과의 대화는 그 다음에 한다.

 

에너지는 들이마시고 걱정은 내뱉어라.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느낄 때마다 숨쉬기에 집중하라.

 

햇빛이 주는 행복을 만끽하라.

리처드 크로나우어와 찰스 체이슬러 박사는 햇빛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3년간 연구 "눈의 망막이 빛을 쬐면 집중력이 증가하고 뇌에 에너지가 생긴다"고 했다.

 

행복한 글쓰기를 습관화 하라.

 

돈은 곧 에너지다. 수입보다 지출이 많다면, 불필요한 데 돈을 허비하고 있지는 않은지 점검하고, 지출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한다.

 

당신에게 잘 맞는 일을 찾아내도록 하라. 그러면 시간이 흐를수록 에너지 공장에서는 열정적인 에너지가 생산되고, 그로 인해 당신은 풍요로움을 만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당신만의 속도로 인생을 살아라. 자신만의 속도로 여정을 즐긴다면 더 많은 에너지로 충전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단거리 선수가 되지마라.]

 

[당신에게는 좋은 사람들이 필요하다. 좋은 말을 해주는 사람, 어떤 에너지가 필요한지 아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믿어주지 않는 사람을 설득하느라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을 믿고 지지하는 사람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이런 사람들을 찾아내고, 그들과 함께 할 시간을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서로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좋은 방법이다.

 

2008.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