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286.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정진홍, 21세기북스,2008

햇살처럼-이명우 2012. 3. 26. 17:38

286.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정진홍, 21세기북스,2008

우리는 왜 인문학에 주목하는가?

통찰(洞察) :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보는 것(insight)
통찰(通察) : 처음부터 끝까지 두루 살펴보는 것(overview)

미국의 언론인 얼 쇼리스(Earl Shorris)의 '클레멘트 코스' 1995년 노숙자, 빈민, 마약 중독자, 죄수 등을 대상으로 정규대학 수준의 인문학을 가르쳤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당장 필요한 것은 빵일지 모르지만 정말 긴요한 것은 자존감의 회복이다. "빈민은 열악한 환경과 불운이라는 포위망에 둘러싸인 사람들이다. 포위망에 갇히면 할 수 있는 일이란 생존을 위한 즉각적인 대응밖에 없다. 하지만 즉각적 대응 대신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면 삶이 달라진다. 인문학을 통해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사고를 시작하고 다른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갖게 하는 것이 바로 클레멘스 코스를 통한 인문학 교육의 목표다."

 

1st. 역사, 흥륭과 쇠망의 이중주, 흘륭사.

  -  강희제(청 4대 황제)

  <康健盛世>의 기초를 닦은 인물, 청나라 268년 역사에 강희제(4대), 옹정제(5대), 건륭제(6대) 133년을 '강건성세'

  진시황~ 220명 황제 -> 한고조 유방 -> 한무제 -> 원태조 칭기스칸 -> 명태조 주원장 -> 청태조 누르하치

 

  만주족 8기군 15만명에, 한족 1억5천만명 굴복

청태조 : 누르하치 - 만주족 일대 평정, 2대 : 홍타이시 , 3대 : 순치제 - 1644년 북경입성

 

강희제는 8살에 왕위에 올라 14살에(강희6년부터) 친정, 61년간 황제의 자리에 있었다.(만주어, 한어, 영어 능통)

 

*강희제의 리더십

  1. 하루하루를 충실히 살았다.(오늘이 끝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2. 이름병에 걸리지 않았다. - 재위 60주년 경축 20자 존호 거부

    '성신문무흠명예철대효홍인체원수세지성황제(聖神文武欽明睿哲大孝弘仁體元壽世至聖皇帝)'

  3. 덕승재(德勝才)

    " 힘으로 지키는 자는 홀로 영웅이되고, 위엄으로 지키는 자는 한 나라를 지킬 수 있지만, 덕으로 지키는 자는 천하를 세울 수 있다."

  4. 좌우명 "국궁진력(鞠躬盡力)"

    " 국궁 - 존경하는 마음으로 몸을 굽힌다."

  5. 통합, 통섭(統攝)

 

- 옹정제(강희제의 네째아들 윤진)

  ' 45세에 황위에 오름

  ' 태자 밀건법(太子密建法) - 후계자를 미리 공표하지 않고 '정대광명(正大光明)'이라 써진 편액 뒤에 두면, 황제의 사후에 대신들이 입회해 이를 개봉하고 후계자를 공표토록 하는 법이었다.

 

"治國은 用人에 있고, 用人은 면밀한 觀察(관찰)에 있다."

 

  '견인 불발(堅忍不拔) - 굳게 참고 견디어 흔들리지 않는다.

 

- 건륭제

  ' 24세에 황위에 오름, 강희제가 사랑한 손자

  ' 협화만방(協和萬邦) : 온 세상을 평화롭게 하라.

 

2nd. 창의성,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힘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창의성의 대명사

  "쇠붙이에 그치지 말고 면도날이 돼라" 쉬지않고 연마해야 한다.

 

  <창의력 향상, 창조적 상상력 체득방법>

  1. 30:70 원칙 준수  실질업무30, 70은 재충전, 여가

  2. 400년 이상된 고전 독서

  3. 몰입의 즐거움 - 15년간 '천지창조', 시스틴 성당 천장에 매달려 그림

 

  '경쟁자만 보고 뛰는 사람은 목표를 보고 뛰는 사람을 결코 이길 수 없다.'

 

  '감각의 제국 - 후각, 냄새

  ' 맵핑머니(mapping money) - 의견을 듣고 나서 "그렇게 하면 돈이되냐" 는 식의 핀잔

  '롤프 옌센(코펜하겐 미래문제 연구 센터 소장)

   - 산업사회 - 정보화 사회 - 드림 소사이어티(dream society) - 꿈, 신화,이야기로 구성

   - 드림 소사이어티는 감성과 꿈이 지배한다. 시장에서의 승리를 위해서는 이야기를 존중해야 한다.

   - storyteller(이야기꾼)가 되라.

 

히스토리 팩토리(history factory) - 미국 버지니아주 소재

 

말콤 글래드웰 - 티핑 포인드(The tipping point)

 

욕망산업

  "필요는 충족될 수 있지만 욕망은 결코 충족될 수 없다."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Jcques Lacan)

  "상품은 그 물질성이 아니라 '차이'를 드러내면서 소비된다." -장 보드리야드(Jean Baudrillard)

 

유혹의 기술

1. 상대를 안심시킨 후 허를 찔러라.

2. 대비효과를 노려라.

3. 상대의 방어본능을 잠재워라.

4. 유머와 풍자로 상황을 반전시켜라.

5. 이야기를 통해 유혹의 힘을 지속시켜라.

6. 감각적인 최면효과로 유혹하라.

 

유혹은 본질적으로 쾌락을 무기로 삼는다.

 

월터 롤리 경 - 엘리자베스 1세이 눈에 들기 위해 아메리카를 2번이나 여행, 자신이 사랑하고 흠모하는 처녀여왕, 즉 버진 퀸(Virgin Queen)을 기리기 위해 버지니아(Virginia)식민지를 개척해 바쳤다.

 

매너의 역사 : 문명화 과정 -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소통하며 보여지는 것 "me" "상대방에게 보여지는 나" 가  "상대에게 기대되는 나"와 서로 소통한다.

 

좋은관계, 좋은 커뮤니케이션은 상대방이 기대하는 나, 상대방이 보는 내 모습이 상대에게 만족스러울 때 가능해진다. 인간이 매너를 중시하는 이유는 나의 'I' 와 상대방의 'I' 가 마주쳐서가 아니다. 오히려 나의 me와 상대방의 me가 마주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람이란 누군가의 기대를 받고, 또 누군가에게 자신을 보여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결국, 매너란 상대에게 보여지고 기대되는 나를 규격화하는 행동양식이다.

 

이슬람은 철저한 오른손 문화(식사, 선물,안내), 왼손(용변, 신발, 코풀기) 화장실에 들어갈 때도 왼발부터 들여 놓는다.

 

조선 실학자 이덕무<사소절> "예절이야 말로 우환을 막아주는 성벽과 같다" 내사단, 외구용, 기오품으로 구성

  내사단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기오품 -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외구용 - ①족용중(足容重) ②수용공(手容恭) ③ 목용단 (目容端) ④ 구용지(口容止) ⑤ 성용정(聲容靜) ⑥ 기용숙(氣容淑) ⑦ 두용직(頭容直) ⑧ 입용덕(立容德)

              ⑨ 색용장(色容莊)

 

매너리즘 - 이탈리아어 'maniera', 일정한 기법이나 형식이 습관적으로 되풀이 되면서 독창성을 잃고 타성에 빠지는 것

 

19 stars(나인 스타즈) : 오성장군 조지 마샬(1880년 생), 더글라스 맥아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사성장군 조지 패튼

 

아이젠하워 원칙 1944년 6월6일 D-day(노르망디 상륙작전 일)

 

BBC가 선정한 지난 1,000년간 가장 위대한 탐험가 10인 

  1위 - 콜럼버스,

  2위 - 캡틴 쿡(타이티-시베리아 항로 개척)

  3위 - 닐 암스트롱

  4위 - 마르코 폴로

  5위 - 어니스트 섀클턴 경(Sir, Ernest Shackleton)

 

  에드워드 기번 - <로마제국 쇠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