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 경제학 콘서트2, 팀 하포드, 웅진지식하우스, 2008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행동한다고 해서 늘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는 건 아니다.
경제학자들은 항상 이면에 숨겨진 논리를 궁금해하며,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무수한 합리적인 결정들이 어떻게 그런 논리를 형성하는지 밝혀내려한다. 합리적인 결정들은 어떤 경우 삶을 개선시키기도 하고, 어떤 경우 악화시키기도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 그리고 그러한 세상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소 싶다면 우선 세상을 이루는 합리적인 선택들을 이해하는게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기펜재(Giffen財)는 가난한 사람들이 소비하는 조악한 생필품을 의미하는데, 앞서 탄산수의 경우처럼 가격이 올라가면 더 큰 가난을 초래하고, 가난은 더 많은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오히려 수요가 늘어나는 상품을 말한다.
크리스 퍼거슨(Chris Ferguson) 세계 포커 챔피언. 게임이론으로 포커 챔피언이 되었다.
게임이론은 유명한 수학 천재인 존 폰 노이만(Jhon von Neumann)이 포커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만들었다.
호주의 23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가장 우수한 근로자의 임금을 대폭 올려주었을 경우 다른 근로자들도 휴가를 줄이는 등 일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였다......그러나 같은 조사에서는 근로자들이 동료에게 장비와 도구를 빌려주는 걸 거부하는 모습도 나타냈다. 이것 역시 토너먼트식 인센티비에 대한 근로자들의 합리적인 반응이다.
토너먼트는 근로자들에게 강한 동기를 부여해준다. 다만 근로자들이 일에 헌신하게 하는 한편, 서로 중상모략하게도 만든다는 게 문제다. 관리자가 토너먼트식의 승진과 성과급제도를 도입하려고 할 때, 자신의 성과를 올리기 위한 노력과 동료의 성과를 깎아내리기 위한 노력이 상쇄작용을 일으키지는 않는지 먼저 주의해야 한다. 가장 치열한 테니스 토너먼트조차 선수들에게 상대선수를 해코지 해야겠다는 인센티브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여러분이 관리자라면 이런 교훈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오바마의 '백인 행세하기(Acting white) 2004. 7 민주당 전당대회 "특히 젊은이가 책을 들고 다니면 백인행세를 한다고 중상모략을 합니다. 우리가 그런 중상모략을 멈추고, 아이들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지 않는다면 아이들은 그 무엇도 이룰 수 없을 겁니다."
번영하는 도시에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 혁신
재도시에서 공짜로 얻을 수 있는 것들
- 사람소개
- 연결고리 발견
- 친구, 사업, 일자리, 거래성사
* 항상 타인에게는 뭔가 배울 점이 있으니, 그러한 타인들은 도시에 산다.
성공적인 도시는 사람들이 서로에게서 뭔가를 배울 수 있는 '삶의 대학교'이다.
실제로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드는 이유가 바로 그것 때문이라면, 대도시는 지적활동과 혁신의 중심지여야 한다.
1890년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의 저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과의 정신적 지주]의 주장이다. 그는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곳에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아이디어가 발생한다고 확신했다.
'외부효과(Spillover)' - 보통은 부정적, 교통체증이 대표적. 통행료가 없는 도로는 막히게 된다. 이 경우 혼잡세를 받으면 (다른 사람들에게 가하는 부정적 외부효과의 대가) 교통량은 줄어들 것이다.
대도시 사람들이 생산적인 이유
1. 뉴욕이나 런던 사람들은 시골 사람들에 비해 똑똑하므로 당연히 돈도 더 잘 번다.
2. 뉴욕 회계사들이 똑똑해서가 아니라 가까이 모여 있어서 더욱 생산적이다.
3. 대도시 근로자들은 임금이 더 빨리 인상된다.
4. 사람들이 도시에 살면 서로에게 배우기 때문에 더 빠르게 똑똑해 진다는 것이다...... 도시에서는 배움이 보이지 않는 '공기중에 있다' 그리고 임금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면 그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혁명군이 세금인하나 복지국가나 최저임금 인상 같은 경제적 요구사항을 내 놓는 건 좋지않다. 혁명군이 내걸만한 이런 조건들은 나중에 혁명의 힘이 약화되었을 때 파기될 수 있다. 이것은 까다로운 문제다. 지도층은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서 모든 조건을 들어주려할지 모른다. 혁명군은 그런 제안을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싶을 것이다. 그래야만 지도층을 처형하는 등 극단적인 해결책을 썼을 때 발생할지 모르는 혼란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명군은 약속이 지켜질 지 확신할 수가 없다.
2009. 3. 1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5.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죠반니노 과레스끼, 서교출판사, 2004 (0) | 2012.07.04 |
---|---|
294.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돌베게, 2008 (0) | 2012.06.29 |
292. 신나는 골프세상, 유응열, 가림 출판사, 2006 (0) | 2012.05.18 |
291. 원점에 서다.BACK TO THE BASIC, 사토 료, 페이퍼로드,2007 (0) | 2012.05.17 |
290.멘토, 스펜서 존슨, 비즈니스북스, 2007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