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301. 세상 밖으로 나온 심리학, 강현식, 네모북스, 2006

햇살처럼-이명우 2012. 7. 18. 17:48

=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 그리고 이와 관련된 생리, 심리,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Psychology is multidisciplinary field with different segment employing irreconable orentation"

심리학 = 짬뽕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것을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어떻게 행동할 것이라는 주위의 예언이나 기대에 영향을 받아 결국 그렇게 행동하는 현상 예) 'B형 남자는 이렇더라'는 말이 B형 남자들로 하여금 의식 또는 무의식 중에 그런 행동을 하게 했을 소도 있다는 것

' 가시광선 :우리 시각 체계가 반응 할 수 있는 범위 , 대략 400~700nm(1nm=1/1,000000mm), '빨주노초파남보, 장파장 700nm(빨강), 400nm(보라), 색깔 순서를 맞춘다면 '보남파초노주빨'이라 해야한다.

 

' 인지 부조화 이론(cognitive dissonance theory) : 사회심리학자 페스팅거(L.Festinger 1919~1989)는 사람들에게는 심리적 일관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고, 그래서 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아서 부조화가 발생하면 불편한 마음이 생기기 때문에, 결국에는 태도와 행동을 조화시키려는 속성이 있다고 주장. 대부분의 경우에 행동은 대체로 취소나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태도를 바꾼다. 즉, 태도를 행동과 일관되게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행동에 맞게 태도를 취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 하는데, 결국 부조화를 감소시키는 과정은 행동의 합리화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 사회심리학 - '사회속의 개인' 연구, 현대 사회심리학의 아버지 K.Lewin(1890~1947) B=f(P*E)

 

' 짐 바르도 박사의 모의감옥 실험 : 6일만에 종결, 22명(9+9+6), 일당15달러

    VS 영화 <엑스페리먼트> : 2001년 독일 영화, 2주간 진행, 20(8+12), 종료 후 4천마르크(약240만원)

 

' 이상화(idealization) - 당신은 누구에게 열광하는가?

 

' 복수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은 내가 누군가에게 복수를 하고 있다면, 그 복수를 하지 않는 것이고, 누군가 나에게 복수를 하고 있다면, 그 복수를 그대로 받아주면서 그 사람을 이해해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복수는 "이해받고자 하는 인간의 여린 마음의 표현" 이므로...

 

'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보는 세상이 진짜 현실이며, 자신의 판단은 맞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은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말 그런가?

  - 현상학적 관점(phenomenological view)에서 우리는 모두 객관적 현실에서 살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주관적인 현실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보는 입장에 따라서 다르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실을 바라보는 절대적인 관점이 있는 것이 아니며, 사람마다 모두 자신의 입장에서 현실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조금 더 급진적으로 가면 객관적인 현실은 없다고 한다. 우리는 쉽게 남을 판단한다. 자신의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과 말 등을 평가한다. 누구는 잘 했고, 누구는 잘 못했다고 객관적인 잣대를 들이대듯이 말한다. 하지만 롸저스가 봤을때,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는 누구도 그 누구를 판단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왜? 아무도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사람이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서는 그 사람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게 롸저스의 생각이다.

  로저스(Carl R. Rogers(1902~1987)의 주장 : 사람을 변화시키는 필요충분 조건

   1. 공감적 이해

   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3. 솔직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1. 재경험(회상, 꿈)

  2. 연관되는 자극 회피(지하철 타기 거부)

  3. 신체의 각성반응(수면장애, 신경과민)

 

2009.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