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생생 학습심리
경제심리
인간관계심리
자기관리 심리
애정심리
심리학 용어
아이가 좋아하는 일에 상을 약속하지 말고, 반대로 고쳐주고 싶은 나쁜 버릇에 상을 주세요. '동기'바꾸기로 아이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버릇을 고치는 방법! 꼭 '매'만은 아니죠?
- 내적동기, 외적동기
내적동기 : 행동 자체에 즐거움을 느껴 발생하는 강하고 능동적인 동기
외적동기 : 행동에 따른 보상을 목표로 발생하는 악하고 수동적인 동기
내적동기가 작용해 일어난 행동에 상을 주게 되면 긍정적이었던 내적동기가 외적동기로 변할 수도 있다.
- self handicapping : 중요한 시험이나 일을 하기전, 실패했을 시를 대비해 미리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을 만드는 현상, 중요한 과제를 앞두고 자꾸 다른 생각이 떠오른다면, 셀프 핸대캐핑에 빠진 것은 아닌지 스스로 점검해보자.
- 사회적 촉진효과(social facilitation) : 타인이 존재로 인해 수행이 향상되는 효과, 도서관은 조용한 장소로 모여든 사람들이 서로 공부하는 모습을 지켜봄으로서 경쟁심이 자극되어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 인디아나 대학(美) 심리학자 트리플렛(Triplett. N)은 사이클 경기에서 선수들이 혼자 트렉을 달릴 때는 평균시속 24km를 기록한 반면, 그룹으로 달릴 때에는 평균시속이 33km로, 단체로 뛸 때 기록이 향상된다는 것 발견.
- 반동효과(Rebound effect) : 생각하지 않으려 할 수록 반동에 의해 더 많이 생각나게 하는 효과, 공부는 경쟁자가 많은 도서관에서, 잡념은 억지로 잊으려하지 말고 우선 종이에 나열하라.
- 역행억제(Retroactive inhibition) : 어떤 정보를 학습한 뒤에 다른 활동을 함으로써 학습할 내용이 보호, 유지되는 것을 방해하는 현상, 따라서 중요한 정보를 학습한 후에는 테스트를 하기 전까지 그 외의 활동을 최대한으로 차단하고 줄이는 것이 좋다.
- 능력보다 노력을 칭찬하라.
능력을 칭찬받는 아이 : 똑똑하구나, 영리하구나 - 머리가 좋아야 공부를 잘 하는구나. 난 머리가 나빠서 이걸 푸는 건 불가능해.
노력을 칭찬받는 아이 : 열심히 했구나. - 열심히 하면 공부를 잘 하는구나. 노력이 부족했어, 더 열심히 해야지.
*능력보다는 노력을, 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해야지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과거이 잦은 실패나 좌절로 인한 무기력, 의욕상실. 상황과 자신의 능력은 항상 변화한다는 것을 잊지 말고 다시 한번 도전하자.
-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 가격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계층의 과시욕, 허영심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
' 터키옥 두 배로 올려 판배 불티나게 팔림
' 명품 애용의 이유
- 손실혐오(Loss aversion) : 같은 금액의 돈이어도 이익을 보았을 때 보다 손해를 보았을 때, 훨씬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하는 현상
-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 : 위기 상황 발생시, 자신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있으면 상황에 대한 책임감이 분산되는 현상, 따라서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처했을 때는 다수의 군중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보다, 한 사람을 지목해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거울효과(Mirror effect) : 호감을 느끼는 사람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하는 심리
- 바넘효과(Barnum effect) :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따라서 바넘효과를 잘 활용한다면 당신도 친구들 사이에서 순식간에 사람의 마음을 읽는 예리한 독심술가가 될 수 있다.
- 후광효과(Halo effect) : 외모나 학력등 자랑할만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외의 면들도 모두 좋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현상
2009. 5. 3 일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7. 한비자韓非子.관계의 지략, 모리야 히로시, 이끌리오, 2008 (0) | 2012.08.13 |
---|---|
306.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 가람기획, 2002 (0) | 2012.08.13 |
304. 각인각색의 심리학 이야기, 류소, 사군자, 2005 (0) | 2012.07.30 |
303. 3일 만에 읽는 심리학, 오오무라 마사오 감수, 박선무,고선균 옮김,서울문화사,2002 (0) | 2012.07.30 |
302. 애노희락愛怒喜樂의 심리학, 김명근, 개마고원, 2003 (0) | 201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