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8.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프로이트 전집3.)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홍빈,홍혜경옮김, 열린책들, 1998
저항(抵抗)은 무슨 역할을 하며 무엇에 대하여 저항한다는 것입니까?
저항이란 어떤 갈등에 대한 확실한 표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언가를 표현하려고 애쓰는 힘이 있고, 또 그것의 표현을 가로막기 위해 투쟁하는 다른 힘이 있음에 틀림없습니다.
꿈-작업은 어떤 것이 문제될 때 시간적인 관계를 공간적인 것으로 변화시켜서 그러한 것으로 표현합니다. 사람들이 모여있는 장면을 꿈꾼다고 할 때, 마치 오페라 망원경을 거꾸로 잡고서 바라볼 때 처럶 그들이 매우 작고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듯이 보이게 됩니다. 여기에서 공간적으로 거리가 먼 것이나 작게 보이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그것은 시간에 있어서의 거리를 의미하며, 아주 오래된 과거의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합니다.
텔레파시라는 것은 특정한 시간에 일어난 어떤 사건이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의 의식속으로 동시에 전달되는 사건을 말합니다.
우리가 <무의식적>이라고 말할 때, 그의 실체에 대해서는 우리가 전혀 모르고 있지만 그의 작용, 효과로부터 그의 존재를 추론해서 가정할 수 밖에 없는 그러한 심리적 과정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초자아, 자아, 이드는 인간의 정신체계가 각각 나뉘어지는 세 개의 영역, 지역, 지방이다.
자아는 억압에 대한 저항을 통해 이드의 한 부분과 결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억압은 이드안으로 까지 계속 확장되지 않습니다. 억압되어진 것은 나머지의 이드와 결합됩니다.
억압이 불안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불안이 이미 그 이전에 거기 있었고, 불안이 억압을 일으킨다는 사실입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성적 대상에게 고통과 학대와 굴욕을 가할 때에만 성적 쾌락을 느낄 때 우리는 그것을 사디즘으라고 부르고, 자기 스스로가 이렇게 학대받는 대상이 되어야먄 하는 욕구가 존재할 때 우리는 그것을 마조히즘이라고 부릅니다.
자신이 거세되었음을 발견하는 것은 여자 아이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점이 됩니다. 그것으로부터 세 가지의 발전 방향이 갈라집니다. 하나는 성적 주저 혹은 노이로제로 이어지고, 또 하나는 남성 콤플렉스의 의미에서 성격의 변화를 가져오며, 마지막 것은 결국 평범한 여성성으로 발전되어 나갑니다.
처음에는 아버지로부터 자리를 물려 받았던 남편이라는 존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어머니의 자리까지도 물려 받습니다. 이렇게 해서 여성의 두 번째 절반의 삶은 그녀의 짧은 이전의 삶이 어머니에 대한 반항으로 이어졌던 것처럼 남편에 대한 투쟁으로 채워지기가 쉽습니다. 이러한 반응행동이 다 소진되고 나면, 두 번째의 결혼 생활은 훨씬 더 만족스럽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빅토르 위고' 스코틀랜드 왕에 의한 마녀재판.
이 왕은 마녀를 판별해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던 것입니다. 그는 물이 끓고 있는 냄비에 그녀를 집어넣고 끓인 다음 그 것을 맛봅니다. 그리고는 <이 사람은 마녀이고 이 사람은 마녀가 아닙니다> 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세계관에 대하여,
과학의 근거와 토대에 이의를 제기하는 힘들 중에서 종교는 유일하게 가장 심각한 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술은 거의 언제나 무해하고 유용한 것입니다. 그 것은 가상(假象)에 지나지 않으며, 그 이상을 원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대로 예술에 사로잡힌 몇몇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현실의 영역으로 침범해 들어노려고 하지 않습니다. 철학은 과학에 반대하지 않습니다. 그 것은 스스로도 과학적인 것 처럼 행세하면서 부분적으로는 같은 방법으로 작업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지식이 조금씩 새로운 진보를 거듭할 때 마다 붕괴될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완별하고 긴밀한 세계상을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환상에 사로잡혀 있으므로 인해서 과학으로부터 멀어집니다.
프로이트의 삶과 생각
프로이트의 발견들은 물론 서로 연관되어 있기는 하지만 세 가지로 묶을 수 있다. 연구의 수단, 그 수단에 의해 생겨난 발견들, 그 발견들에서 추론할 수 있는 이론적 가설들이 그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프로이트가 수행했던 모든 연구 이면에 결정론 법칙의 보편적인 타당성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자연과학 현상과 관련해서는 이 믿음이 아마도 브뤼케의 실험실에 근무한 경험에서 생겨났을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헬름홀쯔 학파로부터 생겨났을 것이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단호히 그 믿음을 정신현상의 분야로 확장시켰는데, 그러는데는 자기의 스승이자 정신의학자인 마이네르트에게서, 간접적으로는 헤르바르트의 철학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2010. 10. 20 수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0. 히스테리 연구(프로이트 전집 4), 지그문트 프로이트, 열린책들,1998 (0) | 2013.07.18 |
---|---|
399. 행복의 연금술, 제임스 알렌, 동서문화사, 2004 (0) | 2013.07.16 |
397. Justice, what's the right to do? 정의란 무엇인가신, 마이클 샌델, 김영사, 2009 (0) | 2013.07.05 |
396. 신 6, 베르나르 베르베르, 열린책들, 2010 (0) | 2013.07.01 |
395. 생각의 연금술, 제임스 알렌, 동서문화사, 2004 (0) | 201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