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 보도셰퍼의 성공전략, 보도셰퍼, 영림카디널, 2005
보도셰퍼 : 독일 출신의 세계적인 머니 코치, 경제동화 '열 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등 저술
우리가 찾고자하는 진실은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다. 진실은 현존하는 상황이 아니라, 어떻게 그 상황을 만드는가에 달려있다. 당신과 나, 우리 모두는 성공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꿈을 현실로 바꾸어라. 하루하루를 황금의 시간으로 만들어라! 그리고 실행하라.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은 성장하지 못한다.
" 아프리카 원숭이를 어떻게 잡는지 아는가? 사냥꾼이 직경 6cm 나무구멍에 계란만한 돌을 넣어둔다. 원숭이는 조금 떨어진 안전한 장소에서 사냥꾼을 관찰하다가 호기심을 갖는다. 그리고 사냥꾼은 몇 미터 물러나는데, 그 때 원숭이가 나무가까이에 다가가 구멍에 손을 집어 넣는다. 원숭이는 구멍속의 돌을 만져보고 밖으로 끄집어 내려한다. 그러나 돌을 꺼내기에는 구멍의 크기가 너무 작다. 물론 돌을 놓으면 쉽게 뺄 수 있지만 그 돌을 놓지 않는다. 결국 사냥꾼은 여유있게 원숭이를 잡아 보따리에 넣는다."
미국 테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승리도 패배도 없는 회색의 삶에서 기쁨도 시련도 체험하지 못하는 단순한 정신의 반열에 서기 보다는 실패의 길을 걷더라도 위대한 일을 시도해보고, 위대한 승리를 맛보겠다."
패배하지 않기 위해 경기하는 경우와 승리를 위해 경기를 하는 경우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단지 패배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면, 그는 위험과 위협에만 신경을 쓸 것이다. 그러나 승리에 중점을 두는자는 더욱 큰 승리의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 당신은 이 둘 중에 누가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는가?
미국의 통계학자, 품질관리의 대가 '에드워드 데밍' 박사는 '사고의 본질'에 관한 정의를 "思考란 일정한 표준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살아움직이고 있으며, 역동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개선을 통해 목표를 달성한다"
오늘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단 한번의 기회이다. 오늘은 꿈과 목표룰 향해 일하는 기회이며, 행복하기 위한 기회이다. 오늘은 평범한 날이 아니라, 나에게 단 한 번 찾아오는 특별한 날이다.
20세기초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파레토는 수입의 80%는 전체 활동의 20%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씨 뿌리는 사람의 다섯가지 교훈
1. 모든 씨앗은 다 자라지 않는다.
2. 적에게 신경을 쓰지말고 자신의 일에 전적으로 집중해야한다.
3. 제일 먼저 최선을 다하여 씨를 뿌려야한다.
4. 인내심이 필요하다.(성장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
5. 수확하는 결과는 결국 우리가 뿌린 씨앗이다.
행복과 성공은 인간의 타고난 권리이다.
행동하기에 가장 좋은 순간은 바로 지금이라는 사실에 주지해야한다. 우선 시작해서 행동하기만 하면 문제는 저절로 찾게되고 해결된다.
이 세상에서 가치있는 모든 것은 행동하는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고 창조된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행동하는 것 만큼 결정적인 방법이 없음을 잘 안다. "Just do it !"
두 명의 승려가 여행중이었다. 그들은 심한 물살때문에 혼자서 강을 건너지 못하는 여인을 만났다. 한 승려가 주저없이 그 여인을 업고 강을 건넜다. 그런 다음 두 승려는 길을 떠났다. 얼마 후 다른 승려가 그를 질책했다. "우리는 여인을 만지지 않는다는 맹세를 했었네. 그런데 도대체 어떻게 여인을 업을 수 있는가? " 그러자 그 승려는 "나는 그 여인을 이미 한 시간 전에 강가에 내려놓았는데, 자네는 아직도 업고있군." 하고 대답했다.
불을 잘못해서 집을 태우는 꼴, 스트레스를 잘 활용하지 못해 병을 키우는 일.
윈스턴 처칠은 93세때 강의 요청, 인생에 중요한 핵심사항을 연설할 것으로 사람들은 믿고 있었다. 처칠은 "여러분은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포기하지 마십시요."
2006. 6. 26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 벤저민 프랭클린 덕의 기술, 엮은이 조지 L 로저스,(주)북이십일,2005 (0) | 2010.05.18 |
---|---|
139. 한번보면 이야기책, 두번보면 경영학책, 서진영, 국일증권경제연구소, (0) | 2010.05.18 |
137. 파이 이야기, 얀 마텔, 작가정신, 2005 (0) | 2010.05.03 |
136. 마시멜로 이야기, 호이킴 데 포사다, 엘렌 싱어, 한국경제신문, 2006 (0) | 2010.05.03 |
135. 11분(eleven minutes).파울로 코엘류, 문학동네, 2004 (0) | 201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