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아부의 기술(전략적 찬사, 아부에 대한 모든 것), 리처드 스텐걸, 참솔, 2006
아부인 줄 알면서도 그것에 쉽게 빠지는 이유는 너무나 간단하다. 누구든지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 들기 때문이다.
아부는 여러가지 면에서 열추적 미사일과 같다. 이 미사일은 곧장 우리의 허영심을 향해 날아와 꽂힌다.
"아부에 현혹당하지 않을지라도 아부를 싫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부란 자신의 비위를 다른 사람이 맞춰야 할 정도로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 랄프 에머슨(Ralph Emerson,19C 미국시인,사상가)
인간이란 자신이 듣고 싶은 찬사에 대하여 굳이 사실 여부를 꼬치꼬치 캐묻지 않으려 한다. 다시 말해, 듣고 싶지 않은, 기분을 상하게 하는 진실을 듣기 보다는 듣고 싶지 않은, 기분을 상하게 하는 진실을 듣기 보다는 듣고 싶은 기만을 받아들이려 한다.
아부의 생리학적 메카니즘
- 세로토닌(serotonin : 포유동물의 혈액속에 있는 혈관 수축물질)
- 세로토닌 작용으로 기분이 좋아진다.
만약 당신을 지켜보는 사람이 있다면, 그에게 너무너무 멋있다고 칭찬해주라!
러시모어산의 대통령상 조지 워싱턴, 제퍼슨,링컨,테디 루스벨트
"미국인들의 지혜를 신뢰하여 결정한 것은 한번의 실패도 없었다" -로널드 레이건-
"저는 미국인들의 지혜를 신뢰합니다. 미국인은 항상 지혜를 올바르게 사용하였습니다" -빌 클린턴, 탄핵소추안 투표시-
견유학파(Cynics) - B.C 3C 디오니게스가 창시, 금욕적인 생활로 자활, 물질주의 거부
에피쿠로스 학파(쾌락주의) - 쾌락이 곧 선
플루타르크스가 말하는 아첨꾼을 알아보는 비결. 10가지
- blog 에 기록
"훌륭한 아부는 일반적인 것이요, 위대한 아부는 구체적인 것이다"
*아부꾼의 종류 - 17C 프란시스 베이컨
1. 통상적인 아부꾼
2. 지능적인 아부꾼
- 상대방의 최대 강점을 최대한 칭찬한다.
3. 물정 모르는 아부꾼
- 지능적인 아부꾼과는 정반대, 상대방의 단점을 집중적으로 칭찬
4. 무림고수급 아부꾼
- 위 세가지 형태를 두루 섭렵한, 체현된 고수, 아부는 허영심에서 비롯된돠.
「사랑하는 아들아 이렇게 살아라 」 체스터필드 경, 1774
- 30년 동안 계속된 편지글
마이클 조던의 비위를 맞추려면, 상상을 초월하는 덩크 슛을 칭찬하지 말고, '심하게 과소평가 된 위대한 야구선수'라고 추켜줘야 한다.
"돈과 결혼한 사람은 거의 행복하지 않지만, 편안한 결혼생활을 하는 반면, 사랑으로 결혼한 사람은 얼마간 행복하지만, 오랫동안 불편하게 산다."
카스티 글리오네, 마키아벨리, 몽테뉴, 베이컨, 체스터필드 등은 개인에게 맞춤아부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던 것이다.
"당신에게 한번이라도 친절을 베푼 사람이 당신의 친절을 받은 사람보다도 친절을 베풀 가능성이 더 높다." -벤자민 프랭클린-
데일 카네기의 탄생
"인격" 중시 → "개성 중시"
「고독한 군중 」 데이비드 리스먼(David Riesman) 1950
내면지향 성향(19C) → 타자지향적 성향(20C) 으로 전환
"비난은 무익할 뿐이다. 비난 받는 사람은 방어적이 되고, 대개 정당화하려고 애쓰기 때문이다. 비난능 위험스러울 따름이다. 비난 받는 사암은 소중한 자존심에 상처를 입어 결국 반항심을 갖게 된다.......나아가 사람들을 굳이 변화시키려 애쓰지 마라. 그저 사람들의 단점을 받아주되, 그것에 영향받지만 않도록 하라." - 데일 카네기 -
"사람 다루기"
인간관계 → 조작할 수 있다.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비결이란 이 세상에 오직 하나 밖에 없다.......즉, 스스로 하고싶은 마음이 일게 하는 것, 바로 이것이 비결이다.
상대방의 마음을 사로잡는 4개 전략 - 에드워드 존스
1. "정말 대단해" - 상대방을 띄워주기.
2.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의견에 동조하기
3. "자랑거리가 못되지만......" - 자신을 잘 표현하기
4. "제가 해드릴께요" - 친절한 행동
2007. 8. 23 목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 傾聽 , 조신영,박현찬, 위즈덤하우스, 2007 (0) | 2011.05.13 |
---|---|
로마인 이야기.15 , 시오노 나나미, 한길사, 2007 (0) | 2011.05.06 |
227. 무지개 원리, 차동엽, 동이, 2007 (0) | 2011.05.05 |
226. 미래의 물결, 자크 아탈리, 위즈덤하우스,2007 (0) | 2011.03.09 |
225. 이기는 습관, 전옥표, 쌤 앤 파커스, 2007 (0) | 201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