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말레이시아에서 사는 법, 김유진 제작소, 웅진리빙하우스, 2007
말레이시아(MM2H : Malaysia My Second Home 비자)
필리핀 (SRRV : 특별영주 은퇴비자) : 필리핀 은퇴청, 35세 이상
이민 준비 원칙
1. 꼼꼼한 현지 답사 - Long Stay 현지환경 철저 조사
2. 현지정보 수집 - 인터넷카페, 동호회 활용
3. 한국 주거지는 반드시 남겨두라.
- 70평 콘도구입, 2억, 식객들 위한 공짜여관 개업
- 부미푸트라(Bumiputra) : 말레이시아 자국민 우대정책
- 물가 한국대비 70%, 공산품, 유류비 1/3, 저렴한 식비
- MM2H Visa 신청시
50세 이상 15만 링깃(4,200만원) 말레이시아 은행 예치, 월 1만 링깃(약 280만원)이상 고정수입(연금등) 증명서
50세 미만 30만 링깃(8,500만원), 1년 후 6만 링깃(1,700만) 제외 인출가능
10년 비자
소자본 비즈니스
- Guest house
.가디언(하숙) : 부모를 대신해서 학교에 나가 교사와 상담도 해야하고, 비자연장 등 업무대리, 영어실력, 한국교사 경험
방4개+다용도 방, 실평수 50평 콘도 임대, 100~200만원 임대료, 부부가 방2개 쓰고 3개를 70만원 정도에 활용하면 200만원 정도 수입가능
식사준비, 청소, 빨래는 가정부 10만원 정도
. 학원운영 : 1억 이상의 여유자금, 피아노, 영어교습, 7~8개 정도 개별 룸, 100평짜리 정도 상가, 1억2~3천에 구입+인테리어, 차량구입, 피아노, 책걸상 기자재 구입비등
2억원 안팎이면 가능, 기존 학원 전세형식 1억원 정도면 가능
* 은퇴비자 ×, 워킹비자 0
말레이시아 부동산 용어
1. 1평 = 35.58sf(square feet), 100sf ≒ 28평
2. 가구 및 가전제품 비치여부
F/F : Fully Furnished , S/F : Semi Furnished, N/F : None Furnished
3. 2+1, 3+1, +1운 침실외에 딸린 보조방, 공부방, 가정부방, 가족실 등으로 이용
공동주택 : 콘도미니엄, 아파트
우리나라 : 고급 아파트 빌라
개인주택 : Link house 방갈로
우리나라 : 단독주택 중,대형 단독주택(침실 4개 이상, 정원, 주차장 확보)
공무원 월급 60만원/월, 자동차 값 한국의 1.5배, 그래도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은 기본 의식주(먹고사는 문제)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
1) 1년 내내 옷 한 벌로도 충분하다
무슬림 여성복 : 차도르 - 머리부터 발 끝까지 칭칭감고 다니는 옷
히잡 - 눈만 제외하고 머리부터 얼굴 전체를 가리는 것
두둥 - 머리만 가리고 얼굴은 내놓는 것
2) 값싸고 풍부한 먹거리
국내에서 5~6천원 → 1천5백원 정도면 해결, 쌀 10kg →9,000원 정도
3) 의료수준
도착하면 바로 보험가입, 1년 4인가족 800링깃(23만원 정도) Medical Insurance
2008. 6. 14 토요일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3. 남자 vs 남자, 정혜신, 개마고원, 2005 (0) | 2011.11.30 |
---|---|
262. 생활의 발견(The Importance of Living), 린위탕(林語堂), 안동민옮김,문예출판사,1999 (0) | 2011.11.30 |
260. 료마가 간다 10, 시바료타로, 창해, 2002 (0) | 2011.11.29 |
259. 료마가 간다 9, 시바료타로, 창해, 2002 (0) | 2011.11.29 |
258. 료마가 간다 8, 시바료타로, 창해, 2002 (0) | 201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