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427. 리바이어던, 토마스 홉스, 삼성출판사,1989

햇살처럼-이명우 2014. 2. 24. 13:45

427. 리바이어던, 토마스 홉스, 삼성출판사,1989 (삼성판 세계사상전집.7)

해제, 한승조
<리바이어던> 제목의 의미. 책의 부제가 '종교적, 시민적 국가공동체이 재료,현태 및 권력'(The matter. Forme & Power of alcommon-wealth Ecclesiastical and civil)' 이라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나, 책의 내용으로 보아서 '국가론'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이 가장 합당했을 것이다. '리바이어던'이란 <구약성서>에 나오는 수중괴물의 이름이다.

언어의 효용은 우선 명사를 올바로 정의하는 데서 생기게 된다. 진리란 명사의 정확한 배열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참다운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은 우선 저자의 말의 정의를 정확히 검토하는 데서 시작되어야 한다. 언어는 현자에게는 계산기이고, 어리석은 자에게는 화폐가 된다.

근대 자연법 사상을 대표하는 사람이 로크, 루소, 홉스이다.

차례 : 올리는 글
서설
제1부 인간론
1. 감각에 대하여
2. 상상력에 대하여
3. 상상력의 결과 및 흐름에 대하여
4. 언어에 대하여
5. 추리와 학무에 대하여
6. 정염이라 불리는 의지적 운동의 내적동기 및 그것이 표현되는 언어에 대하여
7. 토론의 목적과 해결에 대하여
8. 일반적으로 지적이라 불리는 덕 및 그 반대되는 결함에 대하여
9. 지식의 몇 가지 주제에 대하여
10. 권력, 가치, 지위, 명예 및 적격성에 대하여
11. 예법의 차이에 대하여
12. 종교에 대하여
13. 인류의 행,불행에 관한 자연상태에 대하여
14. 제1 및 제2의 자연법과 계약에 대하여
15. 그 밖의 자연법에 대하여
16. 인격, 행위자 및 인격화된 것에 대하여

제2부 국가론
1. 국가의 원인, 발생 및 정의에 대하여
2. 제도화된 주권자의 권리에 대하여
3. 국가제도의 형태와 주권의 계승에 대하여
4. 가부장적 지배와 폭군의 지배에 대하여
5. 신민의 자유에 대하여
6. 정치적, 사적 신민의 체제에 대하여
7. 주권의 공적대행자에 대하여
8. 국가의 영양과 번식에 관하여
9. 조언에 대하여
10. 시민법에 대하여
11. 범죄, 면죄, 작양감경(酌量減輕)에 대하여
12. 처벌과 보수에 대하여
13. 국가를 약화시키거나 해체시키는 원인에 대하여
14. 대표적 주권자의 직무에 대하여
15. 자연에 의한 신국(神國)에 대하여

가치. 인간의 가치나 값어치는 다른 모든 사물들에 있어서와 같이 그의 값이다. 즉, 그 힘의 효용에 대해서 주어질 것과 같은 액면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절대적이 아니며 타인의 필요와 판단에 의존하는 것이다.

명예의 칭호. 공작, 백작, 후작, 및 남작과 같은 명예의 칭호는 명예로운 것이다......
공작은 라틴어로 수령(首領 : ducis)이며 전쟁에 있어서의 장군이다.
백작은 라틴어로 동료(comitas)로서 우의로 장군과 친구가 된 자이며, 정복되고 평정된 지역을 통치하고 방위하기 위해서 남겨졌던 것이다.
후작은 변경백(邊境伯)으로서 제국의 변경 또는 경계선 부근의 지역을 통치하던 백작이었다. 이러한 공작이나 백작 및 후작과 같은 칭호는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 게르만 민병(民兵)의 관습에서 제국에 들어온 것이다. 그러나 남작은 골(gaul)인들의 칭호였던 것으로 보이며, 전쟁에 있어서 부하로 고용하던 왕이나 왕족의 부하와 같은 지위가 높은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다.

평등에서 불신이 발생한다. 능력의 평등에서 우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 희망의 평등이 생긴다.
불신에서 전쟁이 발생한다.

공포심과 자유는 일치한다.

화폐는 국가의 혈액이다.

2011. 8. 15 월 광복절날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