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401. 평행우주(Parallel Universe), 미치오 카쿠, 박병철 옮김, 김영사 2009

햇살처럼-이명우 2013. 7. 18. 15:56

401. 평행우주(Parallel Universe), 미치오 카쿠, 박병철 옮김, 김영사 2009

힌두문학의 대표적 저술 <마하푸라나>
"만일 신이 이 세상을 창조했다면, 그는 세상을 창조하기 전에 대체 어디에 있었단 말인가?......시간과 마찬가지로 이 세상은 어느날 갑자기 창조되지 않았으며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히 그 곳에 존재한다."

빛의 속도는 매우 빠르긴 하지만 무한히 빠르지 않기 때문에, 지금 우리의 눈에 보이는 별은 현재의 모습이 아니다. 달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지구에 도달할 때까지는 약 2초가 걸리므로 우리는 항상 달의 2초전 모습을 보고 있는 셈이다. 태양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에 도달하려면 약 8분20초가 소요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밤하늘에 빛나는 모든 별들은 각기 다른 시대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예컨대 지구에서 1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별이 망원경에 잡혔다면, 관측자는 10년 전 그 별의 모습을 보고 있는 셈이다. 1광년이란 빛이 1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로, 약 9조4,600억km 이다.

 

WMAP 위성(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 우주론의 창시자 데이비드 윌킨슨 David Wilkinson의 이름을 따왔다) : 2001년 발사. 빅뱅의 메아리를 잡아 추정하는 우주의 나이는 137억년 정도이다.

 

1687년 뉴턴의 <프린키피아(Principia)>는 핼리혜성을 발견한 부유한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의 지원을 받아 발표했다. 원제는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ae Naturalis Principia Mathmatica)>

 

자연, 그리고 자연을 지배하는 법칙은 어둠 속에 숨어 있었다. 그러나 신이 "뉴턴이 있으라!"하고 선언하자 모든 것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 시인 알렉산더 포프 Alexander Pope

 

상대성 이론이 우리의 상식에 부합되지 않는 이유는 이론이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우리의 상식이 상대성 이론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들은 이 광활한 우주공간에서 특별히 안락한 곳에 살고 있다. 생명체에게 가장 적당한 온도에 다리가 견딜만한 중력, 그리고 몸이 견딜만한 속도로 움직이는 '우주 특구'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주 공간으로 나가면 별의 중심온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뜨겁고 텅빈 공간은 절대온도 0도에 육박할 정도로 차가우며, 소립자들은 거의 광속으로 공간을 누비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상식이라는 것은 지구 근처에서만 통할 뿐, 범 우주적인 관점에거 잘못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상식이 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믿음 자체가 틀렸다는 것이다.

 

천문학의 원조 에드윈 허블 Edwin Hubble,

 

빅뱅이론의 3총사 Edwin Hubble, 조지 가모브, 프레드 호링 Fred Hoyle

 

도플러 효과 Dopple Effect : 멀리 떨어진 물체의 속도를 알아내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 물체에서 생성된 소리나 빛의 변화를 관측하는 것. 속도감지 카메라의 원리. 자동차에 특정 진동수의 레이저 빔을 쏜 후 되돌아오는 레이저 빔을 수신해 진동수의 변화를 분석하면 자동차의 속도를 알 수 있다.

 

Helium헬륨('Helios' 태양을 뜻하는 말에, 금속을 뜻하는 접미어 ~ium을 붙여 명명. 1868년 과학자들은 태양빛을 프리즘을 통해 분석하던 중 한번도 본적이 없는 스펙트럼 선을 발견하고 이 것은 어떤 금속으로부터 방출된 빛이라 생각)

 

"250톤의 물을 아무런 기구의 도움도 없이 허공에 떠 있게 하려면?  답) 구름을 만들면 된다.

 

다중 우주란 단순히 '지금과 같은 우주가 여러 개 존재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모든 특성이 천차만별인 우주들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엄청나게 복잡한 복합우주 시스템'을 의미한다.

 

대기권 이탈속도 시속 약 4만km (마아 33)

 

1939년 원자탄 제작 맨하탄 프로젝트 총 책임자 로버트 오펜하이머

 

하이젠베르크 "파동함수(슈레딩거의 파동방정식)가 외부의 관찰자에 의해 관측되면 단 하나의 값으로 붕괴된다." 다시 말해서, 이런저런 가능성을 모두 갖고 있던 파동함수가 관측이라는 행위에 의해 단 하나의 값(관측결과)으로 단순화 된다는 것이다.

 

가장 짧은 거리, 물리학자 10-³³ cm (플랑크 길이)

 

구글(google) : 10의 100승 즉,   1 다음에 0이 100개 붙은 수

 

2003.7 독일+미국 천문학자 연구팀은 슬론 스카이 서베이를 이용해 12만 개의 은하를 분석했다. 그 중 2만개가 중심에 블랙홀을 가지고 있었다. 

 

직경 1cm짜리 블랙홀은 약 10의 66승 비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우주 전체의 정보는 무려 10의 100승 비트에 달한다.

 

광년(light-year) 빛이 1 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 약 9조 4,600억 km.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는 약 4 광년이며, 은하수의 폭은 약 10만 광년이다.

 

웜홀 : Wormhole, 서로 다른 우주들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 수학자들은 이 공간을 '다중 연결 공간(올가미나 고리 구멍의 크기를 점차 줄여아간다고 했을 때, 하나의 점으로 줄일 수 없는 공간)'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웜홀은 수명이 짧고 여러가지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생명체가 통과할 수 있을지는 분명치 않다.

 

2010. 12. 2 목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