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교육은 운동이다. 2014.7.2 수 한약복용 3일차. 아침, 점심, 저녁. 소주 3잔 몇 명의 감사관이 한 달 정도 고민하여 해결책이 나오는 문제였다면 대한민국 50년 산업안전의 역사는 10배나 더 발전하였을 것이다. 답은 이미 나와 있는데 문제는 실천이다. 사람이 병들어 죽는 경우와 유사하다. 효험이 좋은 건강관.. 일상 2014.07.03
2014년 6월 26일 오전 05:50 아산 탕정지구 교육을 위해 내려와서 숙소에서 아침을 맞는다. 모텔의 아침은 그리 상쾌하지는 않지만 녹차한잔 우려내고, 책상에 앉아 아미엘의 인생일기를 펼치니 그런데로 마음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듯하다. 오늘도 깨어있는 하루가 되어야 겠다. 일상 2014.06.26
마음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마음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병에 물을 담으면 '물병' 꽃을 담으면 '꽃병', 꿀을 담으면 '꿀병'이 됩니다. 통에 물을 담으면 '물통', 똥을 담으면 '똥통', 쓰레기를 담으면 '쓰레기통'이 됩니다. 우리 사람들의 마음도 이것들과 같아서, 그 안에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좋은 대접을 받을 수도 .. 함께 사는 세상 2014.06.13
438. 장자와 노자(도에 딴지걸기), 강신주, 김영사, 2006 438. 장자와 노자(도에 딴지걸기), 강신주, 김영사, 2006 길을 찾으려고 하지마라. 길은 우리가 걸어가야만 완성되는 것이다. 명경지수(明鏡止水) - 밝은 거울, 고요한 물 여기서 거울은 지금 자신이 비추는 상을 절대적인 상으로 여기는 마음을 비유한다. 거울은 양귀비 같은 아름다운 여자.. 책읽기 2014.06.05
437. 장자의 철학, 강신주, 태학사, 2004 437. 장자의 철학, 강신주, 태학사, 2004 제자백가(諸子百家)가 활동했던 전국시대(戰國時代)는 다양성과 차이를 상징하는 시대였다. 단지 통일된 공동체라는 이념과 시선 속에서만 이 시대는 혼란의 시대로 보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시기 동안 인간의 삶과 사상이 가장 자유로웠을 뿐.. 책읽기 2014.04.11
글 쓰는 세 가지 원칙 글을 쓰는데 세 가지 원칙을 꼭 지키려고 하는데 첫째는 한 문장 한 문장을 간결하게 쓰려고 노력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가르치려고 하지 말 것이며, 세 번째는 글의 마지막 내려야 하는 결론은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자는 것입니다. - 박완규 學以時習之 不亦說乎 2014.04.10
436.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 은행나무, 2010 436.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 은행나무, 2010 0 오해와 함께 온다. 1. 다른 사람과 함께 온다. 2. 우연과 함께 온다. 3. 즐거움과 함께 온다. 4. 행동과 함께 온다. 5. 여유와 함께 온다. "행복은 기대를 관리하는 일이다. 세상은 안내책자에 나와 있는 모습과 다를 때.. 책읽기 2014.04.10
符讀書城南(부독서성남) 符讀書城南(부독서성남) /韓愈(한유) --아들 부(아들 昶의 이름)에게 성남(별장 있는 곳)에서의 독서를 권함-- 木之就規矩(목지취규구) : 나무가 둥글고 모나게 깎임은 在梓匠輪輿(재재장륜여) : 목수에 달려있고 人之能爲人(인지능위인) : 사람이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은 由腹有詩.. 學以時習之 不亦說乎 2014.04.08
재능을 발휘하는 장소 몇 년 전에 워싱턴에 있는 지하철역에서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인 조슈아 벨이 거리의 악사로 변장을 해서 연주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날 벨이 연주한 악기는 무려 32억 원짜리 바이올린이었습니다. 그날 벨은 거리의 악사로 분장을 하고 지하철역 앞에서 45분 동안 열심히 연주를 .. 함께 사는 세상 201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