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다음 칸'은 있다 지하철에 가방을 든 한 아저씨가 승차하더니 승객들을 향해 우렁차게 말하기 시작했다. "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제가 이렇게 여러분 앞에 나선 이유는 좋은 물건 하나 소개해 드리기 위해섭니다. 잘 보세요. 플라스틱 머리에 솔이 달려 있습니다. 이게 무엇일까요? 맞습니다. 칫솔 입니.. 함께 사는 세상 2014.09.11
사랑은 들추어내는 게 아니다. 사랑은 덮어서 가려주는 것이다. 사랑은 남의 약점을 감싸준다. 남의 허물을 덮어준다. 남의 자존심을 지켜준다. 파헤치면 흉하게 된다. 그 예쁜 얼굴도 거죽을 벗기면 흉한 몰골이 되고 만다. 고운 마음도 숨은 동기가 무엇일까 하면서 파헤치면 마치 흑심이 있기라도 한 것처럼 의심이 된다. 사랑은 들추어내는 게 아니.. 함께 사는 세상 2014.09.11
작은 행복 작은 행복 모래알이 모여 해변이 됩니다. 모래알이 모여 사막이 됩니다. 작은 세포가 모여 한 몸이 됩니다. 이렇듯 작은 것은 위대 합니다 작은 것에서 모든 것이시작됩니다. 작은 것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 그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가장 작은 것이 가장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 함께 사는 세상 2014.09.11
넓은 길로 가지말고 좁은 길로 가라! 넓은 길로 가지말고 좁은 길로 가라. 더 안정되고 보장된 자리를 마다하고 청소년들의 교육에 전념하셨던 거창 고등학교 故 전영창 교장 선생님. 선생님은 청소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주의할 점을 10계명으로 알려준 바 있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떤 선택을 하고 계신지요? = 거창 고등.. 함께 사는 세상 2014.09.01
441. 심리학, 습관에게 말을 걸다, 앤 가드, 시아출판사, 2008 441. 심리학, 습관에게 말을 걸다, 앤 가드, 시아출판사, 2008 많은 이들이 새로운 경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외부세계로 나가기를 꺼린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자기의 내면을 직면하려고 하기 보다는 그 언저리에서 편하게 안주하는 것이 행복이라고 믿는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하루하.. 책읽기 2014.08.07
440. 행복의 공식(The Science of Happiness), 슈테판 클라인, 웅진 지식하우스, 2006 440. 행복의 공식(The Science of Happiness), 슈테판 클라인, 웅진 지식하우스, 2006 행복이란 어떤 느낌인가? "마치 오후의 태양 한조각을 삼킨 것처럼" 황홀하다. - 케서린 맨스필드 Katherine Mansfield 오늘날 우울증에 시달리는 젊은 사람들이 10년 전보다 3배나 높은 상황....... 어쩌면 우울증은 21세.. 책읽기 2014.07.21
'행복이란 한 순간에 내가 느끼는 것이지 계속 주어지는 건 아닙니다.' 정호승 시인 똑같은 고통을 당해도 어떤 사람은 그 고통 속에서 희망을 바라보고, 다른 어떤 사람은 고통 속에서 절망을 바라보죠. 고통은 동일하나 고통을 느끼는 건 동일하지 않은 거죠. 그래서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는 이야기가 있는 거죠. 저는 행복을 생각할 때, 꽃 향.. 함께 사는 세상 2014.07.21
SQ(Spiritual Quotient : 영적지수) LG인화원에 근무하시는 이승배부장님으로부터 사무실로 방문하여 만남을 갖고 싶다는 전화를 받고 LG인화원은 어떤 곳 인지, 무엇을 하는 곳 인지 궁금하여 홈페이지를 검색했다. 회원이 아니면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되어있어 회원가입을 시도했는데, 계열사외 일반인은 회원.. 일상 2014.07.10
439. 그 개는 무엇을 보았나?( WHAT THE DOG SAW?), 말콤 글래드웰, 김영사, 2010 439. 그 개는 무엇을 보았나?( WHAT THE DOG SAW?), 말콤 글래드웰, 김영사, 2010 아이디어를 찾는 비결은 모든 사람과 사물에는 그들만이 들려줄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고 믿는 것이다. 동기조사 시저 밀란, 개 심리센터 운영자, 내셔널지오그래픽 <도그 휘스퍼러> Dog whisperer 진행자 인류학자 .. 책읽기 2014.07.09
인생사, 새옹지마 인생사, 새옹지마 당나귀가 빈 우물에 빠졌다. 농부는 슬프게 울부짖는 당나귀를 구할 도리가 없었다. 마침 당나귀도 늙었고 쓸모 없는 우물도 파묻으려고 했던 터라 농부는 당나귀를 단념하고 동네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기로 했다. 동네 사람들은 우물을 파묻기 위해 제각기 삽을 가.. 일상 2014.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