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526. 현실, 그 가슴뛰는 마법, 리차드 도킨스, 김영사, 2012

햇살처럼-이명우 2017. 9. 14. 14:51

526. 현실, 그 가슴뛰는 마법, 리차드 도킨스, 김영사, 2012

원자는 늘 존재해 왔지만, 우리는 최근에야 그 존재를 확신했다. 아마도 우리 후손들은 지금으로서는 우리가 알 수 없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계속 새로운 무언가를 밝혀내는 것, 그것이 과학의 경이로움이자 즐거움이다. 그렇다고 누군가가 상상할 수 있는 것이라면 뭐든지 믿어도 좋다는 뜻은 아니다. 상상은 가능하되 현실일 가능성이 희박한 것도 무수히 많다(도깨비, 요정 등등) 우리는 언제나 마음을 활짝 열어두어야 하지만 어떤 존재를 믿어도 좋은 경우는 오직 진정한 증거가 있을 때 뿐이다.

DNA의 발견
멘델의 '유전자'는 상상의 산물이었다. 그는 그것을 직접 보지않았고, 현미경으로도 보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매끈매끈하고 쭈글쭈글한 콩들을 볼 수 있었고, 그것들을 헤아림으로써 자신의 유전 모형이 현실세계의 무언가를 잘 재현한다는 사실에 대한 간접 증거를 얻었다(......)
우리는 유전자가 DNA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뿐더러 DNA가 정확히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안다.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그들의 뒤를 이은 수많은 과학자 덕분이다. 왓슨과 크릭도 제눈으로 직접 보지는 못했고, 그들도 모형을 상상하고 시험함으로써 발견했다. 이중나선모형이라고 불린 특정모형의 예측들이 과연 옳았다.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모리스 윌킨스가 정제된 DNA 결정에 X선을 쏘아서 얻은 측정치들과 일치한 것이다.

현실을 아는 세 가지 방법
1. 오감
2. 망원경, 현미경 등 도구 활용
3. 모형 창조 - 예측 실험

나는 현실이 바로 이런 의미에서의 마법이라는 것을 여러분에게 보여주고 싶다. 시적인 의미에서 '살아있길 정말 다행이야'하는 의미에서 마법적이라는 것을.

카드놀이 때 딜러가 각각 1장씩 4명에게 13장의 카드를 나눠준다. 4명이 각각 스페이드, 다이아, 하트, 크로바 에이스부터 킹까지 13장씩 우연히 가지게 될 확률은 무려
53,644,737,764,488,792,839,237,440,000분의 1이다. 당신이 1조년 동안 앉아서 카드놀이를 한다면 한 번쯤은 이런 완벽한 패가 나타날지도 모른다. 그런데 52장의 카드로 구성되는 다른 어떤 조합의 패도 확률은 똑같이 1/(5의 28승) 이다.

화석에 따르면 생명은 35억년 전보다 더 먼 과거부터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진화가 벌어질 시간은 충분했다.

섬은 새로운 종의 기원을 이야기할 때 대단히 중요한 존재다. 그런데 섬을 물에 둘러싸인 땅덩어리로만 생각해서는 안된다. 개구리는 오아시스가 자신이 살고 있는 '섬'이고, 오아시스를 둘러싼 사막은 자신이 살 수 없는 '바다'다. 물고기에게는 호수가 '섬'이다. 섬은 종에게나 언어에게나 중요하다. 섬의 개체군은 다른 개체군들과 접촉이 끊어져서 독자적인 방향으로 자유롭게 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현생 포유동물의 공통선조는 약1억8,500만년 전에 살았다. 그 후손이 갈라지고 갈라지고 또 갈라져, 오늘날 우리가 보는 수천종의 포유류를 만들어냈다. 육식동물 231종(개, 고양이, 족재비, 곰 등), 설치류 2,000종, 고래와 돌고래 88종, 발굽이 갈라진 우제류 196종(소, 돼지, 사슴, 양), 기제류 16종(말, 얼룩말, 맥, 코뿔소), 토끼 87종, 박쥐 977종, 캥거루 68종, 유원인 18종(사람 포함) 그리고 그 와중에 멸종한 무수히 많은 종을 만들어 냈다.

그리스어로 '자르다'는 토모스(tomos)인데, 단어 앞에 '아(a)'를 붙이면 '아니다' 혹은 '할 수 없다'의 뜻이 된다. 따라서 '아토믹(a-tomic)은 너무 작아서 더 이상 잘게 자를 수 없는 무엇을 뜻하고, 여기서 원자를 이루는 '아톰(atom)'이 나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아픈 순례자들은 치유와 의술의 신인 아스클레 피오스에게 바쳐진 신전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그들은 신이 직접 고쳐주거나 꿈에서 치료법을 알려줄 거라고 믿었다. 요즘도 놀랄만큼 많은 환자가 루르드 같은 곳으로 가서 성스러운 연못에 몸을 담그며 성수가 자신을 고쳐주기를 바란다. 지난 140년 동안 치유의 희망을 품고 루르트로 순례를 떠난 사람의 수가 약 2억명이다. 대개는 그다지 해롭지 않고, 다행스럽게도 대부분은 대체로 나아진다. 순례를 했든 하지 않았든 어짜피 그렇게 되었겠지만.

2013. 8. 31